-
요세푸스 - 백준(1158)프로그래밍/algorithm 2021. 12. 2. 18:52
요세푸스 문제 성공
문제
요세푸스 문제는 다음과 같다.
1번부터 N번까지 N명의 사람이 원을 이루면서 앉아있고, 양의 정수 K(≤ N)가 주어진다. 이제 순서대로 K번째 사람을 제거한다. 한 사람이 제거되면 남은 사람들로 이루어진 원을 따라 이 과정을 계속해 나간다. 이 과정은 N명의 사람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계속된다. 원에서 사람들이 제거되는 순서를 (N, K)-요세푸스 순열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7, 3)-요세푸스 순열은 <3, 6, 2, 7, 5, 1, 4>이다.
N과 K가 주어지면 (N, K)-요세푸스 순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과 K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 (1 ≤ K ≤ N ≤ 5,000)
출력
예제와 같이 요세푸스 순열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7 3
예제 출력 1 복사
<3, 6, 2, 7, 5, 1, 4>
풀이 1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 '); const [N, K] = input; const josephus = []; for(let i = 1; i<= N; i++) { josephus.push(i); } const result = [] let i = 1; let j = 1; while(josephus.length > 0) { if(i === K * j) { result.push(josephus.shift()); j++; } else { josephus.push(josephus.shift()); } i++; } console.log('<' + result.join(', ') + '>');
쉽지 않은 문제였다. 이런 로직을 생각하는 데, 꽤나 긴 시간이 걸렸다.
채점을 해보니, 메모리와 시간이 많이 걸린다. 아마 shift()를 사용할 때마다 배열의 구조가 다시 만들어지다 보니, 그런 듯하다. 처음에는 shift()를 쓰지 않고 배열 뒤에 값을 쌓는 형식으로 문제를 풀었는데, 값이 커지니 메모리 초과라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어쨋든, '맞았습니다!!'라는 글씨가 뜨니 뿌듯한 마음이 든다. 그리고 이것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인 로직은 없다고 생각했는데......
다른 사람의 풀이 결과다. 내가 만든 로직 보다 훨씬 빠름.........ㅜ
풀이2
const stdin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 const [N, K] = stdin.split(' ').map(Number); const people = Array(N).fill(1).map((x, i) => x + i); let idx = K - 1; const answer = []; while (people.length) { answer.push(people.splice(idx, 1)); idx += K - 1; idx %= people.length; } console.log(`<${answer.join(', ')}>`);
참 읽기 쉬운 코드다. 코드를 보면은 어렵지 않은 것 같은데, 왜 난 이런 생각을 못하는 걸까...
잘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그 사람들과 비교하지 말고, 그냥 꾸준히 하자. 재미있게 하자.
'프로그래밍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쇠막대기 - 백준(10799) (0) 2021.12.13 단어뒤집기2 - 백준(17413) (0) 2021.12.03 큐 - 백준 (10845) (0) 2021.12.01 에디터 - 백준 (0) 2021.11.30 백준 - 스택수열 (0) 2021.09.06